1. Configuring Frame-relay Subinterfaces


Central은 Branch2 Router와 point-to-point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Subinterface와 독립적인 IP Subnet을 설정하고 있다. Point-to-point type의 Subinterface에서는 현재 이 interface에 배정된 DLCI Number가 무엇인지를 알려 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정이 추가되었다.Central(config-subif)#frame-relay interface-dlci 102이외에 Central은 다른 Router와 partial Mesh 연결을 위한 Multipoint type의 subinterface를 구성하고 있다. Central과 Branch3, Branch4는 Frame-relay를 이용한 Partial Mesh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하나의 IP Subnet을 공유하고 있는 형태이다. 또한 Central의 설정 정보를 보면 Inverse-arp를 사용하지 않고 Frame Map을 수동으로 지정하여 PVC의 연결 구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Central(config)#interface Serial0/0.3 multipoint

Central(config-subif)#ip address 10.18.0.1 255.255.255.0

Central(config-subif)#no frame-relay inverse-arp

Central(config-subif)#frame-relay map ip 10.18.0.3 103 broadcast

Central(config-subif)#frame-relay map ip 10.18.0.4 104 broadcast


2. Configuring Subinterfaces Example-Branch2


Branch2 또한 Central과 동일하게 point-to-point로 연결 하기 위한 Subinterface를 설정해야 한다. 만약 Branch2가 하나의 PVC만을 연결하는 Router로 생각하고 Major Interface에 Frame-relay관련 설정을 적용하면 Multipoint와 point-to-point 사이의 연결이 구성되므로 나중에 IP Layer에서 올바른 통신 상태를 유지 할 수 없게 된다. (Framerelay의 Default Interface type이 Multipoint이다.) 반드시 Frame-relay로 연결되는 두 Router사이의 Interface type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좋다.


3. Configuring Subinterfaces Example-Branch3


Frame-relay는 Connection-Oriented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 속성의 의미는 L2 Layer에서 통신이 가능 하려면 반드시 상대방 Device와 가상 회선을 연결하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IP 관점에서는 Central-Branch3-Branch4가 같은 IP Subnet에 연결되어 있으나, Frame-relay Partial Mesh 구조 관점에서 보면 Branch3는 Branch4와 연결된 PVC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기본적인 개념에서 보면, Branch3는 Central과는 L2 연결 관계가 있어 통신이 가능하지만, L2 연결(PVC)을 가지고 있지 않은 Branch4와의 통신을 보장 할 수 없다. 하지만 Branch3의 Frame-relay MAP을 보면 Central과 연결된 하나의 PVC에 Central과 Branch4의 IP를 Mapping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Unicast 방식의 통신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Branch3에서 같은 IP Subnet에 존재하는 Device들을 대상으로 하는 Broadcast나 Multicast는 Central을 통해 Branch4로 전달 되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Branch3와Branch4사이에서 같은 IP Subnet을 대상으로 하는 Broadcast와 Multicast가 가능 하려면 그 둘 사이에 PVC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Unicast는 Frame-relay Map의 정보를 참조하여 전달 될 수 있으나, Broadcast와 Multicast 같은 경우에는 Router를 하나 이상 건너 전달 될 수 없는 규칙이 적용됨을 유의하자. 위 그림과 같이 IP Network의 관점에서는 같은 Subnet이지만 , L2 관점에서는 Partial Mesh 구조를 갖는 구조가 앞으로 우리가 자주 직면하게 될 Topology가 될 것이다.


*.참고

Frame-relay에서 IP 통신은 반드시 Frame-relay의 DLIC Number와 IP Address사이의 Mapping 관계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Mapping 관계가 설정되려면 Frame-relay Interface에 반드시 IP Address와 Map 정보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Interface에서 Self-ping test를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해야 할 것이다.


Router(config-if)#ip address 10.1.1.1 255.255.255.0

Router(config-if)#frame-relay map ip 10.1.1.1 102


4. Frame Relay 동작 검증


- Interface의 상태 정보를 확인 한다.

------------------------------------------------------------------------------------------------------------------------

Router#show interface serial 0

Serial0 is up, line protocol is up

Hardware is CD2430 in sync mode

MTU 1500 bytes, BW 128 Kbit, DLY 20000 usec, rely 255/255, load 1/255

Encapsulation FRAME-RELAY, loopback not set, keepalive set (10 sec)

LMI enq sent 112971, LMI stat recvd 112971, LMI upd recvd 0, DTE LMI up

LMI enq recvd 0, LMI stat sent 0, LMI upd sent 0

LMI DLCI 1023 LMI type is CISCO frame relay DTE

FR SVC disabled, LAPF state down


------------------------------------------------------------------------------------------------------------------------

- Frame-relay PVC의 상태 정보를 확인 한다.

------------------------------------------------------------------------------------------------------------------------

Router#show frame-relay pvc 110

PVC Statistics for interface Serial0 (Frame Relay DTE)

DLCI = 110, DLCI USAGE = LOCAL, PVC STATUS = ACTIVE, INTERFACE = Serial0

input pkts 14055 output pkts 32795 in bytes 1096228

out bytes 6216155 dropped pkts 0 in FECN pkts 0

in BECN pkts 0 out FECN pkts 0 out BECN pkts 0

in DE pkts 0 out DE pkts 0

out bcast pkts 32795 out bcast bytes 6216155

------------------------------------------------------------------------------------------------------------------------


Frame-relay 연결 상태를 확인 하는 대표적인 명령어이다. Frame-relay연결은 전용선과 달리 Interface의 물리적인 연결 상태 말고도 PVC와 같은 논리 회선의 연결 상태와 기타 IP 관련Issue들을 참조해야 한다. Frame-relay Interface의 연결 상태와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순서는 다음과 과 같다.


1.Interface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show interface 명령어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2.PVC의 상태 정보를 확인 한다.

show frame-relay pvc [dlci number]명령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PVC의 상태를 확인한다.

active – 정상

inactive – 상대방 Router의 Frame-relay 관련 구성 및 연결의 문제 발생.

delete – PVC 정보의 문제


3.Frame-relay MAP 정보를 확인한다.

show frame-relay map 명령어를 이용하여 PVC의 Local DLCI Number와 IP주소 사이의 Mapping 관계를 확인한다.


- Frame-relay MAP의 상태 정보를 확인 한다.

------------------------------------------------------------------------------------------------------------------------

Router#show frame-relay map

Serial0/0 (up): ip 160.1.21.1 dlci 201(0xC9,0x3090), static,

broadcast,

CISCO, status defined, active

Serial0/1 (up): ip 150.1.23.3 dlci 213(0xD5,0x3450), static,

broadcast,

CISCO, status defined, active

Serial0/2 (up): ip 150.1.43.3 dlci 214(0xD9,0x3500), Dynamic,

broadcast,

CISCO, status defined, active

------------------------------------------------------------------------------------------------------------------------


Show Frame-relay Map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Frame-relay Interface가 올바르게 설정 되었더라도, Frame-relay Interface에 IP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Frame-relay MAP에서 아무런 정보를 확인 할 수 없다.

 Frame-relay Network에서는 Frame-relay MAP에 등록되지 않은 IP와는 통신 할 수 없다.

 Self Ping Test를 원한다면 Interface의 Local IP와 DLCI Number의 Mapping 작업이 필요하다.

 PVC의 상태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예상 할 수 있다.

Active -> PVC의 상태가 양호 하다는 의미이다. (통신 가능)

Inactive -> 주로 상대방 Router의 설정이 잘못된 경우를 나타낸다. (통신 불능)

Delete -> Frame-relay Switch 내부에서 PVC 정보를 확인 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통신불능)


5. PPP over Frame Relay 동작 확인


1. Show interface S0.198


• 물리 interface의 연결 상태 정보를 확인 한다. PPP Over Frame-relay 연결은 기본적으로 Frame-relay 연결이 정상적으로 동작된다는 보건을 전제하고 있다.


2. Show interface virtual-template1


• PPP 연결 시 필요한 관련 정보들을 참조하는 interface의 정보를 보여준다.

• Virtual-template interface는 항상 down 상태이다. 왜냐하면 이 interface는 PPP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일 뿐이기 때문이다.


3.Show interface virtual-access1


• 실제 PPP Over Frame-relay 연결의 상태를 확인한다.

• virtual-access interface는 virtual-template interface에서 정의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Memory상에서 특정한 Process 형태로만 존재하는 Interface이다. 따라서 별도로 virtualaccess interface 정보를 nvram에 저장 할 수도 없다.

• virtual-access interface는 관리자가 직접 Configuration 할 수 없는 interface이다.

• 만약 PPP over Frame-relay 연결상에 특별한 정책을 작용해야 한다면 virtual-template interface을 대상으로 적용한다.




'IT >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1)  (0) 2017.02.08
Establishing Frame Relay Connections  (0) 2017.02.08
Frame-Relay Switching(2)  (0) 2017.02.07
Frame-Relay Switching(1)  (0) 2017.02.07
Basic IOS Configuration(4)  (0) 2017.02.07

+ Recent posts